
고인을 추모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오늘은 49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십구재(四十九齋)란?
- 정의: 불교에서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매 7일째마다 7회에 걸쳐서 49일 동안 개최하는 종교의례 (NAVER 지식백과)
제사의 한 종류라는 생각에 흔히들 '49제'라고 잘못 알고 있는 '49재'는 불교식의 재개할 '재(齋)'를 쓴다고 하며 불교에서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비는 천도 의식입니다.
천도란, 죽은 영혼이 좋은 곳에 태어나기를 기원하는 기도를 뜻하는데요.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다음 생을 받을 때 까지 49일 동안 중음(中陰)의 상태를 맞게 된다고 보는데, 이 기간 동안 다음 생을 받을 연(緣)이 정해진다고 하여 7일마다 불경을 읽고 부처님께 공양하는 의식을 말합니다.
즉, 죽은자로 하여금 좋은 생을 받기를 바라는 뜻에서 49일 동안 재를 지내는 것이 바로 49재이며, 요즘 들어서는 7일마다 재를 올리는 대신 다소 간소하게 49일이 되는 날에만 재를 지내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이런 천도의식이 있었왔는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하네요.
49재와 관련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9재 상차림
49재는 고인을 위해 49일 동안 정성껏 상을 올리게 되는데요,
고인께 생전의 음식을 매일 올리며 불교식 절차이므로 음식을 준비할 때 고기나 생선을 제외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요즘에는 고인이 좋아했던 음식을 자유롭게 올리는 편이라고 합니다. 다만 팥이나 소금, 마늘 등은 귀신을 내쫓는다는 속설이 있어 상에 올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한편 49일 째에는 기제사 형식으로 모시며, 제사상 가운데 맑고 깨끗한 청수를 올립니다. 전통적으로는 49재 당일에 생전 입던 옷과 소지품을 태워 이승에서의 끊을 놓아드리고 보내드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해요.
우리나라에서는 불교와 유교의 추모의식이 혼재 되어있어 49재를 일반적인 제사와 비슷한 형태로 추모하는 모습도 많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49재 계산법
49재는 고인이 돌아가신 당일, 즉 기일을 제 1일로 삼아서 7일씩 7번을 돌아가면 됩니다. 차례대로 초재, 2재, 3재, 4재, 5재, 6재, 막재라고 부르며 '메모리얼(Memo-Real)'에서 제공하는 49재 계산기를 사용해서도 쉽게 계산할 수 있다고 합니다.
49재 주의할 점
과거 유교예법에서는 만 2년에 걸쳐 삼년상을 치르지만 불교에서는 49일 동안 재를 지내고 탈상을 한다는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상을 치르는 중인 49재 동안에는, 일반적으로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음주가무나 경조사 참여, 여행 등을 삼가한다고 합니다. 고인의 죽음을 기억하는 상 중에는 즐겁고 기쁜 일은 하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하네요. 또한 살아 있는 생명을 해치거나 거짓말로 구업(입으로 짓는 악행)을 쌓지 않도록 하고 주지 않은 것을 취하거나 삿된 음행을 하는 것도 금기된다고 합니다.
49재 비용
불교 의식이다 보니, 절에서 지내는 것을 기본으로 여기고 있으나 절에서 지내는 경우 대부분 49재를 위한 비용이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큰 절의 경우 비용이 많이 들어 요즘에는 작은 절이나 집에서 지내기도 한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불교식 추모문화인 49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고인의 안녕을 비는 유가족의 마음이니,
절에서 치르지 못했거나 익숙한 제사의 형태로 치루었다고 해서 잘못되었거나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각자의 상황에 맞춰서 진심으로 고인의 명복을 비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핵심이며, '메모리얼(Memo-Real)' 또한 고인을 추모하기 위해 어떤 것들이 필요할지, 어떻게 유가족들의 슬픔을 어루만져드릴 수 있을지 더욱 고민해보겠다는 다짐으로 해당 포스팅을 마무리합니다.
※'죽음과 이별 연구소'는 메모리얼(Memo-Real) 산하에서 삶과 죽음 그리고 이별하는 법에 대해 연구합니다. 죽음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아하는지 고민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 시대를 위한 새로운 추모문화를 제시하고 선도하기 위한 연구기관입니다.
'죽음과 이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음과 이별] 일본의 상조시장 (1) | 2025.02.07 |
---|---|
[죽음과 이별] 일본의 장례 문화 (0) | 2025.02.05 |
[죽음과 이별] 설 차례 (4) | 2025.01.30 |
[죽음과 이별] 삼우제 (0) | 2025.01.16 |
[죽음과 이별] 천도재(천도제) (4) | 2025.01.06 |